교육분야 | 교육과목 | 이수시간 |
---|---|---|
소양분야 |
① 가족복지 및 정책 ② 여성학ㆍ여성복지 및 정책 ③ 한국가족의 특성과 가족문제 ④ 여성인권과 폭력 | 15 |
전문분야 Ⅰ |
① 가정폭력의 이해 ② 가족법 및 가정폭력 관련 법 ③ 법률구조실무 ④ 법적 절차 및 대응 ⑤ 의료지원실무 | 30 |
전문분야 Ⅱ |
① 상담심리개론 ② 상담의 기법 및 프로그램 ③ 상담자의 자세 및 윤리 ④ 대상별 상담과정 | 35 |
전문분야 Ⅲ |
① 상담 사례 연구 및 실무실습 ② 역할연습 등 | 20 |
총계 | 100 |
교육과정 | 개설강좌 | 교육내용 |
---|---|---|
일반과정 | 상담 실무자 과정 |
① 상담이론 ② 상담구조화 ③ 상담자의 윤리와 자세 ④ 상담원의 소진예방·자기치유 ⑤ 피해자 의료 지원 ⑥ 피해자 수사 및 법률 지원 ⑦ 피해자 지원 연계체계 ⑧ 가정폭력 관련 법제 |
전문과정 | 피해자 프로그램 |
① 치유프로그램 목적과 구성 ② 관계형성 ③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 ④ 피해자의 증상과 치료 ⑤ 피해자의 문제해결중심 접근 |
행위자 프로그램 |
① 행위자 상담의 형식과 내용 ② 행위자 상담모델과 배경이론 ③ 알코올 상담 ④ 자기통제 기술 ⑤ 대인관계 기술 ⑥ 의사소통 기술 |
|
상담 전문가 과정 (장애인, 아동, 청소년 등 대상별) |
① 장애인 가정폭력 현황과 특성 및 상담적 접근 ② 폭력노출아동에 대한 이해와 프로그램의 적용 ③ 이주여성의 가정폭력 현황과 특성 및 상담적 접근 ④ 국적, 체류 등 관련 법률 이해 ⑤ 폭력피해 수사·재판 실무 |
|
고급과정 | 상담사례 연구 |
① 상담사례 연구 및 분석 ② (집단)상담실습 ③ 역할연습 ④ 워크숍 |